자신의 모습에 반해버린 나르키소스

그리스 신화에서 나르키소스는 매혹적인 아름다움으로 유명한 보이오티아(미마스 또는 현대의 이즈미르 카라부룬)의 테스피아에 출신의 사냥꾼이었습니다.

역사의 말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남아 있고, 세계 곳곳에는 그 흔적이 깊숙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정당화되는 역사적 사건이든 신화적 이야기이든 깊이 생각하면 각 사건의 목적은 우리 삶의 뚜렷한 현실을 보게하는 것입니다. 나르키소스의 경우가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자신의 모습에 반한 나르키소스 1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나르키소스. 위키미디어 공용/DreamsTime

나르시스는 자신의 모습에 반해

자신의 모습에 반한 나르키소스 2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나르키소스. 수선화의 고전 신화, 변신, 캔버스에 유채,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의 예술 작품. Palazzo Barberini, 로마, 이탈리아, 명암법의 극적인 사용. 로브 반 히스 / 드림타임.com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는 강의 신 케피소스와 님프 리리오페의 아들이었다. 미모로 주목받았다. Ovid의 Metamorphoses, Book III에 따르면 Narcissus의 어머니는 맹인 예언자 Tiresias로부터 그가 자신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장수할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자신의 모습에 반한 나르키소스 3
티레시아스 앞에 수선화를 데려오는 리리오페, 줄리오 카르피오니 위키미디어 공용

그러나 나르키소스가 님프 에코나 (이전 버전에서는) 청년 아메이니아스의 사랑을 거부한 것은 그에게 신들의 복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는 샘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과 사랑에 빠져 쇠약해져(또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그의 이름을 딴 꽃은 그가 죽은 곳에서 피어났다.

그리스 여행가이자 지리학자인 Pausanias는 Description of Greece, Book IX에서 나르키소스가 사랑하는 쌍둥이 자매의 죽음을 위로하기 위해 샘물을 바라보며 그녀의 모습을 떠올릴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은 불운하거나 심지어 치명적이라는 고대 그리스 미신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습니다. 수선화는 로마 미술에서 매우 인기 있는 주제였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과 및 정신 분석에서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서적 미성숙의 한 형태인 상태인 과도한 수준의 자부심 또는 자기 참여를 나타냅니다.

수선화 신화의 여러 버전

테이레시아스는 운명에 대해 묻는 사람들에게 어김없이 정확한 예언을 함으로써 아오니아의 도시 전역에서 유명해졌습니다. 나르키소스의 어머니가 테이레시아스에게 아들이 늙어서 살 수 있냐고 묻자 그는 "네, 자기 자신을 만나지 못한다면"이라고 대답했다. 오랫동안 점쟁이의 예측은 무의미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최종 결과는 소년의 죽음과 그를 일으킨 독특한 광기의 형태로 그 정확성을 입증했습니다.
테이레시아스는 그에게 운명에 대해 묻는 사람들에게 어김없이 정확한 예언을 하는 것으로 아오니아의 도시 전체에서 유명해졌습니다. Narcissus의 어머니가 Tiresias에게 그녀의 아들이 노년까지 살 수 있느냐고 물었을 때 그는 "그가 자기 자신을 만나지 않는다면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오랫동안 점쟁이의 예언은 무의미해 보였다. 그러나 최종 결과는 소년의 죽음과 그것을 야기한 독특한 광기의 형태로 그 정확성을 입증했습니다. www.uvm.edu

신화의 여러 버전은 고대 출처에서 살아남았습니다. 고전적인 버전은 Ovid의 Metamorphoses XNUMX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에코와 나르키소스의 이야기입니다. 리리오페가 잘생긴 아이 나르키소스를 낳을 때 그녀는 선견자 테이레시아스와 상의했는데 아이가 자신을 발견하지 못하면 장수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

어느 날 나르키소스가 숲을 걷고 있을 때 오레아드(산의 요정)인 에코가 그를 보고 깊은 사랑에 빠져 그를 따랐습니다. 나르키소스는 자신이 뒤따르는 것을 감지하고 소리쳤다. "거기 누구야?". 반복되는 에코 "거기 누구야?" 그녀는 결국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그를 안아보려 했다. 그는 자리에서 물러나 그녀에게 자신을 내버려 두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마음이 아팠고 메아리만이 남을 때까지 외로운 계곡에서 여생을 보냈습니다.

자신의 모습에 반한 나르키소스 4
에코와 수선화,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위키 미디어 공용

복수의 여신인 네메시스(아프로디테의 한 측면)는 이 이야기를 알게 된 후 이러한 행동을 눈치채고 나르키소스를 처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번은 여름에 사냥을 하다 목이 말라서 여신이 그를 유인해 연못으로 유인한 적이 있는데 그곳에서 물 위에 기대어 젊음이 한창인 자신을 보았다. 나르키소스는 그것이 자신의 모습일 뿐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마치 다른 사람인 것처럼 깊이 사랑에 빠졌습니다. 이미지의 매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결국 사랑은 보답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내면에서 타오르는 열정의 불에 녹아내렸고, 결국 금과 백의 꽃으로 변했다.

기원전 50년경에 작곡된 니케아의 시인 파르테니우스에 기인한 초기 버전은 옥스퍼드의 옥시린쿠스 파피루스 중에서 벤자민 헨리 박사에 의해 2004년에 발견되었습니다. 오비디우스 버전과 달리 나르키소스가 삶의 의욕을 잃고 자살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Ovid와 동시대 사람인 Conon의 버전도 자살로 끝납니다(Narrations, 24). 그 속에서 아메이니아스라는 청년은 이미 남자 구혼자들을 배척한 나르키소스와 사랑에 빠졌습니다. 나르키소스도 그를 멸시하고 그에게 칼을 주었다. Ameinias는 Narcissus의 문 앞에서 자살했습니다. 그는 나르키소스에게 그가 일으킨 모든 고통에 대해 교훈을 주기 위해 신들에게 기도했습니다. 수선화는 물웅덩이 옆을 걸으며 물을 마시기로 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반성을 보고 그것에 매료되어 욕망의 대상을 가질 수 없어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세기 후 여행 작가 Pausanias는 나르키소스가 자신보다 쌍둥이 자매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새로운 변형을 기록했습니다. 모든 버전에서 그의 몸은 사라지고 남은 것은 수선화 꽃뿐입니다.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의 기원

수선화 이야기는 자신과 자신의 외모 또는 대중의 인식에 대한 집착인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를 탄생시켰습니다. 1898년 영국의 성 학자인 Havelock Ellis는 과도한 자위 행위와 관련하여 "수선화 같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그 사람이 자신의 성 대상이 됩니다.

1899년 Paul Näcke는 성적 변태 연구에서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사람입니다. 1911년 Otto Rank는 나르시시즘과 관련된 최초의 정신 분석 논문을 발표하여 이를 허영심과 자기 칭찬과 연결했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1914년에 나르시시즘에 관한 독점적인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나르시시즘에 관하여: 소개".